분류 전체보기 321

[블록체인] 퍼블릭 블록체인(Public Blockchain)

퍼블릭 블록체인이란? 퍼블릭 블록체인(public blockchain)이란 누구든지 자유롭 게 참여할 수 있는 개방형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말한 다. 공공 블록체인 또는 개방형 블록체인이라고 한다. 권위 있는 조직의 승인이 없이 누구든지 인터넷에 연결된 PC, 노트북, 스마트폰, 서버컴퓨터, 채굴기 등 다양한 컴퓨터 장비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할 수 있다. (B2C, C2C에 적합)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개별 컴퓨터를 노드(node)라고 부르는데, 각 노드들은 블록체인에 저장된 데이터를 복사하여 저장하고, 해시연산을 통해 새로운 블록의 생성에 참여할 수 있다. 또한 각 노드들은 언제든지 자신의 컴퓨터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연결하지 않고 접속을 차단함으로써 자유롭게 탈퇴할 수 있다..

카테고리 없음 2020.06.29

[메모] 딩고사건

고정관념, 확증편향 호주 경찰의 무능함 소수종교에 대한 병적인 편견 딸을 잃은 피해자라면 늘 탈진한 듯 비탄에 젖어 있어야 한다는 가학적인 편견: 특히 이게 제일 컸다. 경찰도, 대중도 모두 린디의 '일반적이지 않은' 반응만 보고 비정상적이라고 여기며 편견과 그릇된 확신을 가졌다. 무모하고 선정적인 보도 관행을 가지고 있었던 호주 언론계의 부도덕성 법적 정의를 보완해야 할 전문가들의 그릇되고 과도한 확신: 과학수사처 토니 존스 박사는 이와 관련하여 '과학자는 결코 지나치게 모험적이어서도 안 되며 지나치게 경쟁적이어서도 안된다. 문제는 우리 모두 인간이라는 사실이다. 나는 인간의 취약함이 이토록 참혹한 결과를 낳은 예를 보지 못했다.'라는 소회를 밝혔다. 배심원제의 취약성 등이 있다. 특히 확증편향의 위험..

메모 2020.06.26

[운영체제] OS역사

컴퓨터 역사 : 1940년대 말~ Processor & Memory - 하드웨어 발전 vs 운영체제 기술발전 - card reader > memory > processing > line printer os의 역사 * Batch(꾸러미,묶어서 처리한다) processing system(일’괄’처리.최초의 OS) - resident(메모리에 상주) monitor * Multiprogramming system(다중프로그래밍) - 컴퓨터는 비싼 자원 - 빠른 CPU, 느린 i/o >>> 메모리에 여러 개의 job - CPU scheduling, 메모리관리보호 * Time-sharing system(시공유 시스템) - 강제 전환, interactive system(대화형) - 가상 메모리, 프로세스간 통신, 동기..

운영체제 2020.06.26

[Linux] 데몬 Daemon

ls(list) mkdir(make directory) rm(remove) 이런것들이 명령어이자 프로그램이다 ! 데몬에 해당되는 프로그램은 ls, mkdir, rm처럼 on/off방식이 아니라 항상 켜져있는 웹브라우저클라이언트컴퓨터는 on/off 하여 서버에 액세스 서버컴퓨터는 웹브라우저라는 sw의 카운터파트너로. ‘web server프로그램’은 항상 켜져 있어야한다.여러가지종류의 서버들이 있구나. 클라이언트 컴퓨터에서의 web browser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서버컴퓨터에서는 web server소프트웨어 프로그램. daemon, service라는 게 있다.

운영체제/Linux 2020.06.26

[Java] WAS & Web Server

apache 란? apach란 것은 소프트웨어 단체 이름이다. 그리고 우리가 흔히 부르는 아파치서버라는 것은 이제단에서 후원하는 오픈소프 프로젝트 커뮤니티에서 만든 http웹서버를 지칭하는 말이다. (아파치 프로젝트는 웹서버 외에도 여러가지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고 한다. 이건 추후에 조사해볼것이다.) http 웹서버는 http 요청을 처리할 수 있는 웹서버이고, 아파치 http서버는 http요청을 처리하는 웹서버인 것이다. 클라이언트가 GET, POST, DELETE 등등의 메소드를 이용해 요청을 하면 이 프로그램이 어떤 결과를 돌려주는 기능을 한다. 아파치는 웹서버 이다! tomcat 이란? tomcat은 흔히 WAS(Web Application Server)라고 말한다. WAS는 웹서버와 웹 컨테..

[스프링] JPA

ORM(Object Relational Mapping)은 객체지향에서 말하는 객체와 대이터베이스에서 말하는 개체가 상당히 유사하다는 입장에서 시작합니다. 객체지향에서 클래스로 설계하는 모습과 대이터베이스의 테이블구조가 거의 유사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엔티티와 클래스 엔티티. 테이블. 엔티티. 속성들. 칼럼들 엔티티 인스턴스들. 행들. 클래스의 오브젝트들. 모델 DTO VO 데이터베이스 작업하는 JPA, Persistence(영속성)라는게 그 작업이다 import할때에도 persistence로 import해준다 autoincrement(AUTO) int(20억) 잘넘어간다 so then 'long' type으로 spring.datasource.url=jdbc:mysql://localhost:3306/j..

[컴퓨터구조] 레지스터(Register)

레지스터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조작하는 것을 돕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메모리 영역이다. 컴퓨팅에서, 하드웨어 레지스터는 다른 종류의 '하드웨어 입출력 (I/O)'를 위한 저장공간이다. 하드웨어 레지스터는 주요 주변장치의 내부에 포함되어 있고, '메모리맵 I/O'나 '포트맵 I/O'의 의미에 따라서 컴퓨터의 '중앙 처리 장치(CPU)'를 나타낸다. 특히 초기화 동안에, "환경설정"과 주기능의 시작을 포함하는 하드웨어 레지스터의 일반적인 사용은, 1. "버퍼 저장공간" (예시로 그래픽 카드 VGA 를 위한 비디오 메모리)과, 2. 하드웨어 장치에 발생되는 주요한 사건 같은 "상황 보고"가 있다. 읽어진 하드웨어 레지스터는 프로세서(Processor, Microprocessor, CPU)에 의한, "읽기"나 "저..

컴퓨터구조 2020.06.22

[네트워크] OSI Model

PDU(Protocol Data Unit) 정리 ISO OSI 7 Layer Model 통신 계층별 데이터 단위 7(Applicaiton) : Message (애플리케이션 메시지) 6 Presentation : Message (프레젠테이션 메시지) 5 Session : Message (세션 메시지) 4 Transport : Segment 3 Network : Packet (네트워크 패킷) 2 Data Link : Frame (데이터 링크 프레임) 1 Physical : Bit == 이 모형을 이용하면 특정 네트워킹 시스템에서 일어나는 일을 계층을 활용해 시각적으로 쉽게 설명할 수 있다. 덕분에 네트워크 관리자는 어떤 문제의 원인이 어디에 있는지 범위를 좁힐 수 있다. 예를 들어 물리적인 문제인지 아니면 ..

네트워크 2020.06.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