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영체제 8

[운영체제] 운영체제 내부구조 및 설계원리 제8판 | Part2 프로세스 (수정)

Operating Systems Internals and Design Principles William Stallings Operating SystemsFor introductory courses on operating systems. Operating Systems: Internals and Design Principles provides a comprehensive and unified introduction to operating systems topics. Stallings emphasizes both design issues and fundamental principles in contemporary systems and gives readers a solid understanding of th..

운영체제 2023.02.02

[정보보안기사] 세마포어(Semaphore)

철도의 까치발 신호기 또는 해군의 수기 신호라는 뜻으로, 운영체제 또는 프로그래밍 내에서 공유자원에 대한 접속을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신호. 병행 내지 병렬로 동작되는 둘 이상의 프로세서 사이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 시간이나 입출력 접속구(port)와 같은 공유 자원을 동시에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한 프로세서가 사용하고 있는 동안에 ‘세마포어’를 세워서 다른 프로세서를 대기시키고 사용이 끝나면 해제시키는 방법으로 사용한다.

[컴퓨터구조] 명령어 형식

명령어 방식 명령어는 명령부(OP Code + Mode)와 자료부(주소필드, Operand)로 구성합니다. 이 중에 자료부(Operand 부)에 올 수 있는 개수에 따라 명령어 방식을 구분합니다. 0주소 명령어(0 Address Instruction) 1주소 명령어(1 Address Instruction) 2주소 명령어(2 Address Instruction) 3주소 명령어(3 Address Instruction) 0주소 명령어(0 Address Instruction) OP Code 부만 있고 주소를 지정하는 자료부(Operand 부)가 없는 명령어 모든 연산은 Stack 메모리의 TOP(Stack 포인터)이 가리키는 Operand를 이용하여 명령을 수행합니다. 스택 기계(Stack Machine)라고 ..

컴퓨터구조 2020.07.22

[운영체제] 운영체제 구조 및 역할

사용자가 컴퓨터를 원활히 사용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제어하며 컴퓨터와 사용자 간의 상호 교신을 담당하는 시스템 소프트웨어 ① 커널 : 유닉스 시스템이 부팅될 때 가장 먼저 읽혀지는 운영체제의 핵심 부분. 메모리 관리, 입출력 장치 관리 등 하드웨어와 관련된 작업을 수행하는 것으로 사용자들은 커널에 접근할 수 없다. ② 쉘(shell) : 명령을 해석하는 부분으로서 사용자와 유닉스 시스템을 연결시켜 준다. 즉,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하면 이를 해석하여 커널이 이해할 수 있는 명령으로 번역하여 커널에게 넘겨줌. ③ 유틸리티 및 응용 프로그램 : 유닉스는 많은 프로그래밍 언어를 지원하고, 파일 작성, 파일 출력, 파일 내용을 선택적으로 변경시키는 기능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유틸리티와 다른 컴퓨터와 통신을 가능하..

운영체제 2020.06.30

[운영체제] OS역사

컴퓨터 역사 : 1940년대 말~ Processor & Memory - 하드웨어 발전 vs 운영체제 기술발전 - card reader > memory > processing > line printer os의 역사 * Batch(꾸러미,묶어서 처리한다) processing system(일’괄’처리.최초의 OS) - resident(메모리에 상주) monitor * Multiprogramming system(다중프로그래밍) - 컴퓨터는 비싼 자원 - 빠른 CPU, 느린 i/o >>> 메모리에 여러 개의 job - CPU scheduling, 메모리관리보호 * Time-sharing system(시공유 시스템) - 강제 전환, interactive system(대화형) - 가상 메모리, 프로세스간 통신, 동기..

운영체제 2020.06.26

[Linux] 데몬 Daemon

ls(list) mkdir(make directory) rm(remove) 이런것들이 명령어이자 프로그램이다 ! 데몬에 해당되는 프로그램은 ls, mkdir, rm처럼 on/off방식이 아니라 항상 켜져있는 웹브라우저클라이언트컴퓨터는 on/off 하여 서버에 액세스 서버컴퓨터는 웹브라우저라는 sw의 카운터파트너로. ‘web server프로그램’은 항상 켜져 있어야한다.여러가지종류의 서버들이 있구나. 클라이언트 컴퓨터에서의 web browser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서버컴퓨터에서는 web server소프트웨어 프로그램. daemon, service라는 게 있다.

운영체제/Linux 2020.06.26

[컴퓨터구조] 레지스터(Register)

레지스터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조작하는 것을 돕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메모리 영역이다. 컴퓨팅에서, 하드웨어 레지스터는 다른 종류의 '하드웨어 입출력 (I/O)'를 위한 저장공간이다. 하드웨어 레지스터는 주요 주변장치의 내부에 포함되어 있고, '메모리맵 I/O'나 '포트맵 I/O'의 의미에 따라서 컴퓨터의 '중앙 처리 장치(CPU)'를 나타낸다. 특히 초기화 동안에, "환경설정"과 주기능의 시작을 포함하는 하드웨어 레지스터의 일반적인 사용은, 1. "버퍼 저장공간" (예시로 그래픽 카드 VGA 를 위한 비디오 메모리)과, 2. 하드웨어 장치에 발생되는 주요한 사건 같은 "상황 보고"가 있다. 읽어진 하드웨어 레지스터는 프로세서(Processor, Microprocessor, CPU)에 의한, "읽기"나 "저..

컴퓨터구조 2020.06.22

[운영체제] 스레드와 프로세스

[운영체제] 스레드와 프로세스 프로세스는 서로 완벽히 독립적인 공간을 가진다. 각자가 각자의 스택과 데이터 영역을 가지고, 보호받는다. 프로세스는 시작할 때 운영체제에서 PCB와 메모리 공간을 할당받고 초기화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다른 프로세스의 영역을 들여다볼 수 없기 때문에 프로세스끼리 통신하기 위해서 프로세스간 통신을 활용하거나 공유 메모리를 생성해 데이터를 주고받는 등의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야만 한다. 은행 지점을 하나 새로 세우려면 부동산을 계약하고 내부 인테리어 공사를 진행하며, 은행 지점끼리 연락하기 위해서는 사람이 직접 가거나 전화를 해야 하는 상황을 생각해보면 된다. 반면 한 프로세스가 비정상적으로 종료해도 다른 프로세스에는 영향이 거의 없다. 은행 지점 하나가 화재 등으로 손상되어도 다..

운영체제 2020.0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