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321

[메모] 수학과, 컴퓨터과학과

대학생활의 대부분을 증명으로 보내죠 일단, 전문적인 수학지식이 필요한 프로그램 부류들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최적화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프로그래머라면 그 분야에 따라 ‘알고리즘’이나 ‘조합론’, 또는 약간의 ‘선형대수’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또, 기하 알고리즘을 구현하고 싶다면 '기하학'에 대한 지식이 필요할지도 모르죠. 프로그램들의 종류가 하도 다양해서 거의 모든 분야의 수학이 다 거론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제일 추상적이라는 ‘추상대수’나 ‘수리논리학’까지도 computational algebra나 computation logic 분야에서 사용되니까요. 그러나, 이런 것 말고 '일반적인' 프로그래밍 전반에 수학적인 지식이 필요하느냐? 하는 질문에 저는 당근!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단적인 예가 ..

메모 2020.06.21

[네트워크] MAC Address 메모

전역적으로 관리되는 주소와 지역적으로 관리되는 주소는 주소의 첫 옥텟의 두 번째로 작은비트로 설정함으로써 구별할 수 있다. 이 비트는 U/L 비트(Universal/Local의 준말)로도 부르며, 주소가 어떻게 관리될지를 식별한다. 비트가 0이면 주소는 전역적으로 관리되며, 1이면 지역적으로 관리된다. 주소 06-00-00-00-00-00의 예에서 첫 옥텟은 06(16진)이며, 이것의 이진 형태는 00000110인데 여기에서 두 번째로 작은 비트가 1이다. 그러므로 이것은 지역적으로 관리되는 주소이다. 즉, 이 비트는 모든 OUI에서 0이 된다. 현대의 대부분의 하드웨어의 MAC 주소를 변경할 수 있다. MAC 주소를 변경하는 일은 네트워크 가상화에서 필수적이다. 보안 취약점을 활용하는 과정에도 사용할 ..

네트워크 2020.06.16

[NET] TCP/IP PROTOCOL(forouzan) 목차

1부 개요와 기반기술 1장 개요 1.1 역사 1.2 프로토콜과 표준 1.3 표준기구 1.4 인터넷 표준 1.5 인터넷 관리 2장 OSI 모델과 TCP/IP 프로토콜(protocol도 어떻게 보면 클래스같음. 타입) 2.1 프로토콜 계층구조 2.2 OSI 모델 2.3 TCP/IP 프로토콜 그룹 2.4 주소지정 2.5 중요 용어 3장 기반 기술 3.1 유선 근거리 통신망 3.2 무선 LAN 3.3 점대점 광역 통신망 3.4 교환형 광역 통신망 3.5 연결장치 2부 네트워크 계층 4장 네트워크 계층의 소개 4.1 개요 4.2 교환(Switching) 4.3 네트워크 계층에서의 패킷 교환 4.4 네트워크 계층 서비스 4.5 다른 네트워크 계층 문제점들 5장 IPv4 주소 5.1 개요 5.2 클래스기반 주소지정 ..

네트워크 2020.06.14

[NET] HTTP와 Cookie

초기 웹은 html 페이지나 이미지, 사용자데이터, 웹서비스 중간에 발생하는 일시적인 데이터 등 모든 정보를 웹서버에 저장해두도록 설계되었다. 그러므로 웹브라우저는 웹서버로부터 데이터를 받아 사용자화면에 출력하는 기능만 담당하였다. 그 후 웹의 사용이 폭발적으로 늘어나게 되어, 웹서버의 저장 부담이 커지고 웹브라우저와 웹서버 사이의 통신트래픽도 증가하여 웹서비스의효율이 나빠졌다. 그래서 html5에서는 웹브라우저가 실행되는 사용자컴퓨터에도 데이터를 저장해 두는 다양한 기능을 마련한다. HTML5에서 로컬컴퓨터의 저장기능이 있는 또 다른 있는 이유는 웹서버와 연결이 끊어진 오프라인상태에서도 브라우저 상에서 웹앱이 실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브라우저와 웹서버의 통신: 브라우저와 웹서버 사이 HTML페..

네트워크 2020.06.14

[독서] 비즈니스 글쓰기

내가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결과는 천지차이. 읽는 이를 배려하는 '습관'. 친절하고도 간단명료한 글. 연결성이 부드러운 글. 읽으면 읽을 수록 흥미로운 글. 독자는 누구일까? 글의 목적, 글의 단어선택, 글의 구조, 글의 흐름. 나 또한 나의 글을 일고 그에 대해 서로 다른 사람들의 고유한 생각을 듣고 싶고, 나 또한 그들의 글을 읽고 싶다. ​ 비즈니스 용어는 글을 빨리 쓰기 위한 편리한 도구처럼 보일 수 있다. 하지만 실제로는 글쓴이가 별다른 판단 없이 무의식적으로 상투적인 표현을 쓰는 사람이라는 것을 읽는 이에게 알려 줄 뿐이다. 반면에 간결하고 가독성이 높은 문서는 읽는 이에 대한 배려를 보여준다. ​ * 문서편집을 자유롭게 부탁하고 편집해주는 사내 풍토를 조성하자. 옹졸한 우월감이 들어갈 틈은 ..

독서 2020.06.09

[네트워크] 프록시 서버 Proxy

그림으로 배우는 Http&Network Basic 1. 1대로 멀티 도메인을 가능하게 하는 가상호스트 HTTP/1.1 에서는 하나의 서버에 여러개의 웹 사이트를 실행할수 있다.이를 위해 "가상호스트"라는 기능을 사용하고 있다. "가상호스트"를 사용하면 물리적으로는 서버가 1대지만 가상으로 여러대가 있는 것처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인터넷에서 도메인명은 DNS에 의해 IP 주소로 변환되고 나서 엑세스를 하게된다. 결국 요청(req)이 서버에 도착하는 시점에는 "IP주소를 기준으로 접근"하게 된다. 이때 "가상호스트"를 사용하고 있다면, 1대의 물리적 서버에서 2개의 도메인이 있을 경우, 서버는 어느 쪽에 대한 접근인지 서버는 알수가 없다.이 때문에 HTTP 요청시에 다른 호스트명과 도메인명을 완전하게 ..

네트워크 2020.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