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영체제 37

[Linux] apt(advanced package tool)

https://coding-groot.tistory.com/90[리눅스] apt, apt-get의 사용법 비교apt = Advanced Packaging Tool, .deb 형식의 패키지들을 관리(설치, 삭제, 업데이트)해주는 툴 apt vs apt-get ? 여러 리눅스 패키지들의 문서를 읽다보면 어떤 것은 apt install 을 사용해서 설치하라고 하고 어..coding-groot.tistory.com npm, npx(excute), yarn apt Ruby - gem Python - pip JS - npm(Node) macOS - homebrew AMI(Amazon Machine Image)Docker사용할때에도 image를 서치한 후 pull해서 사용했듯이아마존 클라우드에서도 image파일을 p..

운영체제/Linux 2020.07.31

[리눅스] 2020-07-14 도커 메모

가상머신(서버컴퓨터)상에 도커를 이용하여 도커컨테이너에 톰캣도 설치하고, 데이터베이스(마리아DB)도 설치하고, 이런 작업을 리눅스컴터에 도커를 이용하여 도커컨테이너에 톰캣, 데이터베이스들을 각각 설치해놓고 쓴다. ####################################### docker로 톰캣(Tomcat) 설치하기 이미지 => 설치하기 위한 파일 $ docker search tomcat => 이미지 검색 $ docker pull tomcat => 이미지 가져오기 $ docker images => 이미지 확인 컨테이너 => 실행파일 // docker run --name 컨테이너명 -d(백그라운드) -p 포트연결 이미지 $ docker run --name t01 -d -p 32788:8080 to..

운영체제 2020.07.14

[리눅스] 2020-07-13 강의메모01

virtualbox로 가상머신을 사용한다.(www.virtualbox.org/wiki/Download_Old_Builds_6_0)가서 확장팩(extension??)도 그리고 나서 ubuntu 18.04 버전 다운로드(releases.ubuntu.com/18.04/) ########################################### 계정생성 user1 1234 자동으로 로그인 체크 ########################################### $ sudo apt update => update $ sudo apt install net-tools => 서버 주소 확인 $ ifconfig => 아이피 주소 확인 ########################################..

운영체제 2020.07.13

[운영체제] 운영체제 구조 및 역할

사용자가 컴퓨터를 원활히 사용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제어하며 컴퓨터와 사용자 간의 상호 교신을 담당하는 시스템 소프트웨어 ① 커널 : 유닉스 시스템이 부팅될 때 가장 먼저 읽혀지는 운영체제의 핵심 부분. 메모리 관리, 입출력 장치 관리 등 하드웨어와 관련된 작업을 수행하는 것으로 사용자들은 커널에 접근할 수 없다. ② 쉘(shell) : 명령을 해석하는 부분으로서 사용자와 유닉스 시스템을 연결시켜 준다. 즉,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하면 이를 해석하여 커널이 이해할 수 있는 명령으로 번역하여 커널에게 넘겨줌. ③ 유틸리티 및 응용 프로그램 : 유닉스는 많은 프로그래밍 언어를 지원하고, 파일 작성, 파일 출력, 파일 내용을 선택적으로 변경시키는 기능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유틸리티와 다른 컴퓨터와 통신을 가능하..

운영체제 2020.06.30

[운영체제] OS역사

컴퓨터 역사 : 1940년대 말~ Processor & Memory - 하드웨어 발전 vs 운영체제 기술발전 - card reader > memory > processing > line printer os의 역사 * Batch(꾸러미,묶어서 처리한다) processing system(일’괄’처리.최초의 OS) - resident(메모리에 상주) monitor * Multiprogramming system(다중프로그래밍) - 컴퓨터는 비싼 자원 - 빠른 CPU, 느린 i/o >>> 메모리에 여러 개의 job - CPU scheduling, 메모리관리보호 * Time-sharing system(시공유 시스템) - 강제 전환, interactive system(대화형) - 가상 메모리, 프로세스간 통신, 동기..

운영체제 2020.06.26

[Linux] 데몬 Daemon

ls(list) mkdir(make directory) rm(remove) 이런것들이 명령어이자 프로그램이다 ! 데몬에 해당되는 프로그램은 ls, mkdir, rm처럼 on/off방식이 아니라 항상 켜져있는 웹브라우저클라이언트컴퓨터는 on/off 하여 서버에 액세스 서버컴퓨터는 웹브라우저라는 sw의 카운터파트너로. ‘web server프로그램’은 항상 켜져 있어야한다.여러가지종류의 서버들이 있구나. 클라이언트 컴퓨터에서의 web browser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서버컴퓨터에서는 web server소프트웨어 프로그램. daemon, service라는 게 있다.

운영체제/Linux 2020.06.26

[운영체제] 스레드와 프로세스

[운영체제] 스레드와 프로세스 프로세스는 서로 완벽히 독립적인 공간을 가진다. 각자가 각자의 스택과 데이터 영역을 가지고, 보호받는다. 프로세스는 시작할 때 운영체제에서 PCB와 메모리 공간을 할당받고 초기화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다른 프로세스의 영역을 들여다볼 수 없기 때문에 프로세스끼리 통신하기 위해서 프로세스간 통신을 활용하거나 공유 메모리를 생성해 데이터를 주고받는 등의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야만 한다. 은행 지점을 하나 새로 세우려면 부동산을 계약하고 내부 인테리어 공사를 진행하며, 은행 지점끼리 연락하기 위해서는 사람이 직접 가거나 전화를 해야 하는 상황을 생각해보면 된다. 반면 한 프로세스가 비정상적으로 종료해도 다른 프로세스에는 영향이 거의 없다. 은행 지점 하나가 화재 등으로 손상되어도 다..

운영체제 2020.0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