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316

[컴퓨터구조] CPU Cache 캐시

https://ko.m.wikipedia.org/wiki/CPU_캐시CPU 캐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동적 CPU 메모리 캐시 그림 CPU 캐시(CPU cache[1])는 CPU 구조에 메모리로 사용하도록 구성되었다. CPU 캐시는 메인 메모리에서 가장 자주 사용되는 위치의 데이터를 갖고 있는 크기는 작지만 빠른 메��ko.m.wikipedia.org 프로세서가 메인 메모리를 읽거나 쓰고자 할 때는, 먼저 그 주소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캐시에 존재하는지를 살핀다. 만약 그 주소의 데이터가 캐시에 있으면 데이터를 캐시에서 직접 읽고, 그렇지 않으면 메인 메모리에 직접 접근한다. 이때 대부분의 프로세서는 메인 메모리에 직접 접근해서 전송된 데이터를 캐시에 복사해 넣음으로써 다음번에 같은 주소에 프..

[Network] Ethernet 이더넷

https://ko.m.wikipedia.org/wiki/이더넷이더넷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트위스티드 페어 케이블 인텔 82574L 기가비트 이더넷 NIC, PCI익스프레스 x1카드 이더넷(영어: Ethernet)은 컴퓨터 네트워크 기술의 하나로, 일반적으로 LAN, MAN 및 WAN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기술 규��ko.m.wikipedia.org 이더넷은 OSI 모델의 물리 계층에서 신호와 배선,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MAC(media access control) 패킷과 프로토콜의 형식을 정의한다

카테고리 없음 2020.08.18

[Network] TTL(TimeToLeave)& Cahing(캐싱)

TTL (Time to Live)은 패킷이 라우터에서 폐기되기 전에 네트워크 내에 존재하도록 설정된 시간 또는 “홉 (hop-소스와 목적지 간의 경로)”을 나타냅니다. TTL은 CDN 캐싱 및 DNS 캐싱을 비롯한 다른 상황에서도 사용됩니다. 폐기 되기 전의 데이터 단위 (예 : 패킷 – 컴퓨터 네트워크에 의해 운반되는 데이터의 형식화 된 단위)가 경험할 수 있는 컴퓨터 및 컴퓨터 네트워크 기술에서의 시간 또는 전송의 횟수에 관한 것입니다. https://ston.readthedocs.io/ko/latest/admin/caching_policy.html4장. Caching 정책 — STON Edge Server documentation이 장에서는 서비스의 핵심이 되는 TTL(Time To Live)과 C..

[DB] Transaction 트랜잭션

트랜잭션은 "쪼개질 수 없는 업무처리의 단위"를 의미한다. ATM으로 계좌이체를 한다고 생각해보자. 내 계좌의 잔액에서 이체한 금액만큼 빼는 일과, 상대 계좌의 잔액에서 해당 금액만큼 더하는 일은 쪼개어져서는 안된다. 즉 하나의 업무로 함께 진행되어야 하는 일이다. "더이상 쪼갤 수 없다는" 표현 때문에 이를 원자성(Atomicity)을 보장해야 한다라고 얘기한다. 쪼갤 수 없기 때문에 일부만 동작해선 안된다. 부분 작업들 여러개가 모여진 이러한 트랜잭션을 처리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는 다음과 같은 기술을 제공한다. 요런거 명령어쓴다. - 롤백(Rollback): 부분 작업이 실패하면 트랜잭션 실행 전으로 되돌린다. - 커밋(Commit): 모든 부분작업이 정상적으로 완료하면 이 변경사항을 한꺼번에 DB에..

데이터베이스 2020.08.17

[Network] application/octet-stream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poohhoo&logNo=220477440530&proxyReferer=https:%2F%2Fwww.google.co.kr%2Fapplication/octet-stream 의 의미application/octet-stream 위의 문장은 http패킷쪽으로 들여다보면 가끔 보이는 문장이다. 더 디테일하게 ...blog.naver.com .mov ->video/quicktime .one ->application/onenote .ppt ->application/vnd.ms-powerpoint .txt ->text/plain .tif ->image/tiff .ini -> application/octet-stream 서버에서 다루는 확..

카테고리 없음 2020.08.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