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316

[스프링] JPA

ORM(Object Relational Mapping)은 객체지향에서 말하는 객체와 대이터베이스에서 말하는 개체가 상당히 유사하다는 입장에서 시작합니다. 객체지향에서 클래스로 설계하는 모습과 대이터베이스의 테이블구조가 거의 유사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엔티티와 클래스 엔티티. 테이블. 엔티티. 속성들. 칼럼들 엔티티 인스턴스들. 행들. 클래스의 오브젝트들. 모델 DTO VO 데이터베이스 작업하는 JPA, Persistence(영속성)라는게 그 작업이다 import할때에도 persistence로 import해준다 autoincrement(AUTO) int(20억) 잘넘어간다 so then 'long' type으로 spring.datasource.url=jdbc:mysql://localhost:3306/j..

[컴퓨터구조] 레지스터(Register)

레지스터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조작하는 것을 돕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메모리 영역이다. 컴퓨팅에서, 하드웨어 레지스터는 다른 종류의 '하드웨어 입출력 (I/O)'를 위한 저장공간이다. 하드웨어 레지스터는 주요 주변장치의 내부에 포함되어 있고, '메모리맵 I/O'나 '포트맵 I/O'의 의미에 따라서 컴퓨터의 '중앙 처리 장치(CPU)'를 나타낸다. 특히 초기화 동안에, "환경설정"과 주기능의 시작을 포함하는 하드웨어 레지스터의 일반적인 사용은, 1. "버퍼 저장공간" (예시로 그래픽 카드 VGA 를 위한 비디오 메모리)과, 2. 하드웨어 장치에 발생되는 주요한 사건 같은 "상황 보고"가 있다. 읽어진 하드웨어 레지스터는 프로세서(Processor, Microprocessor, CPU)에 의한, "읽기"나 "저..

[네트워크] OSI Model

PDU(Protocol Data Unit) 정리 ISO OSI 7 Layer Model 통신 계층별 데이터 단위 7(Applicaiton) : Message (애플리케이션 메시지) 6 Presentation : Message (프레젠테이션 메시지) 5 Session : Message (세션 메시지) 4 Transport : Segment 3 Network : Packet (네트워크 패킷) 2 Data Link : Frame (데이터 링크 프레임) 1 Physical : Bit == 이 모형을 이용하면 특정 네트워킹 시스템에서 일어나는 일을 계층을 활용해 시각적으로 쉽게 설명할 수 있다. 덕분에 네트워크 관리자는 어떤 문제의 원인이 어디에 있는지 범위를 좁힐 수 있다. 예를 들어 물리적인 문제인지 아니면 ..

[메모] 수학과, 컴퓨터과학과

대학생활의 대부분을 증명으로 보내죠 일단, 전문적인 수학지식이 필요한 프로그램 부류들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최적화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프로그래머라면 그 분야에 따라 ‘알고리즘’이나 ‘조합론’, 또는 약간의 ‘선형대수’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또, 기하 알고리즘을 구현하고 싶다면 '기하학'에 대한 지식이 필요할지도 모르죠. 프로그램들의 종류가 하도 다양해서 거의 모든 분야의 수학이 다 거론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제일 추상적이라는 ‘추상대수’나 ‘수리논리학’까지도 computational algebra나 computation logic 분야에서 사용되니까요. 그러나, 이런 것 말고 '일반적인' 프로그래밍 전반에 수학적인 지식이 필요하느냐? 하는 질문에 저는 당근!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단적인 예가 ..

메모 2020.06.21

[네트워크] MAC Address 메모

전역적으로 관리되는 주소와 지역적으로 관리되는 주소는 주소의 첫 옥텟의 두 번째로 작은비트로 설정함으로써 구별할 수 있다. 이 비트는 U/L 비트(Universal/Local의 준말)로도 부르며, 주소가 어떻게 관리될지를 식별한다. 비트가 0이면 주소는 전역적으로 관리되며, 1이면 지역적으로 관리된다. 주소 06-00-00-00-00-00의 예에서 첫 옥텟은 06(16진)이며, 이것의 이진 형태는 00000110인데 여기에서 두 번째로 작은 비트가 1이다. 그러므로 이것은 지역적으로 관리되는 주소이다. 즉, 이 비트는 모든 OUI에서 0이 된다. 현대의 대부분의 하드웨어의 MAC 주소를 변경할 수 있다. MAC 주소를 변경하는 일은 네트워크 가상화에서 필수적이다. 보안 취약점을 활용하는 과정에도 사용할 ..

[NET] TCP/IP PROTOCOL(forouzan) 목차

1부 개요와 기반기술 1장 개요 1.1 역사 1.2 프로토콜과 표준 1.3 표준기구 1.4 인터넷 표준 1.5 인터넷 관리 2장 OSI 모델과 TCP/IP 프로토콜(protocol도 어떻게 보면 클래스같음. 타입) 2.1 프로토콜 계층구조 2.2 OSI 모델 2.3 TCP/IP 프로토콜 그룹 2.4 주소지정 2.5 중요 용어 3장 기반 기술 3.1 유선 근거리 통신망 3.2 무선 LAN 3.3 점대점 광역 통신망 3.4 교환형 광역 통신망 3.5 연결장치 2부 네트워크 계층 4장 네트워크 계층의 소개 4.1 개요 4.2 교환(Switching) 4.3 네트워크 계층에서의 패킷 교환 4.4 네트워크 계층 서비스 4.5 다른 네트워크 계층 문제점들 5장 IPv4 주소 5.1 개요 5.2 클래스기반 주소지정 ..